본문 바로가기
공학/자동차공학

자동차 타이어 적정 공기압 (PSI, KPA)

by thekisch 2025. 1. 31.
반응형

요즘 타이어 공기압을 넣는 데 5,000원의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용 공기 주입기기를 많이 구입하실텐데요. 내 자동차의 적정 공기압은 어떻게 확인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자동차 공기압

     

    먼저 자동차 공기압에 대해 알아볼게요.
    여름철은 공기압 팽창하고 겨울철에서 공기압이 수축합니다.

     

    공기압 높을 때 

    노면에 골고루 닿지 않기 때문에 승차감이 떨어지고 편마모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공기압 낮을 때

    타이어가 노면과 닿는 면적이 늘어나 마찰이 많아지기 때문에 타이어 수명은 감소하고 연비가 감소됩니다. 또한 제동 성능이 저하되어 안전에 문제가 생겨요.

     

    physical-mechanic 이 유용한 댓글을 남겨주셔서 인용합니다.
    공기압이 10%~20% 낮아지면 연비가 약 2%~6% 감소합니다.
    이유는 공기압이 낮을수록 구름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구름 저항(Rolling Resistance)이란 타이어가 회전할 때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며, 타이어의 공기압이 20% 낮아질 경우, 구름 저항이 최대 15% 증가한다는 국제자동차기술학회 연구자료가 있습니다.
     타이어 제조사 미쉐린의 연구에서는 공기압이 25% 부족한 상태로 10,000km를 주행하면 약 15L의 연료가 추가 소비된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2015년부터 모든 차량에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원리는 휠 안쪽에 설치된 TPMS 센서가 내부의 압력과 온도를 측정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계기판에 표시등이 들어오게 됩니다.

     

    TPMS

     

     

    반응형

     

     

    내 차 적정 공기압

     

    적정 공기압 확인 방법

    운전석에서 내려서 문 닫히는 부분에 붙어 있는 스티커를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타이어표준공기압

     

    공기압 단위

    여기서 공기압 단위를 먼저 설명드릴게요. 요즘 차량은 단위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기 편한 것로 쓰시면 됩니다.

     

    1) PSI (프사이, Pound per Square Inch) - 가장 많이 쓰입니다. 1제곱 인치당 파운드의 압력을 의미합니다.

    • 1PSI = 6.9KPA

    2) KPA (킬로파스칼, Kilopascal) - 타이어 내부의 공기와 표면 대기압의 압력. 다시 말해 표면을 누르는 힘의 수치 압력을 표시한 단위를 의미합니다. PSI보다 수치가 크기때문에 더 정밀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3) BAR (바) - 주로 유럽 국가에서 대기압 대비 압력 비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입니다.

    • 1BAR = 100KPA

     

    적정 공기압

    1) 겨울철에는 10% 더 (10도 떨어질 때 0.07~0.14bar 떨어집니다.)
    2) 타이어의 MAX공기압의 80% 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50PSI이기 때문에 40PSI 이하)
    3) 결론 

    • 경차의 경우 : 30~32 PSI
    • 일반차량의 경우 : 36~40 PSI
    • SUV 차량의 경우 : 40~45 PSI
     

    physical-mechanic 이 유용한 댓글을 남겨주셔서 인용합니다.

    포스팅에 올라온 권장공기압을 촬영한 사진은 레이 차량의 권장공기압인데요.
    자세히 보시면 위쪽은 권장공기압을 37
    아래쪽은 권장공기압을 60으로 표기해놓았습니다.
    상용의 목적으로 화물을 이송하는 레이밴에서 주로 사용되는 타이어의 스펙과 함께 공기압이 표기된것인데요,
    차량의 적정 공기압을 판단하실때 차량의 승차인원, 적재량이 늘어나면 그에 따라 공기압도 높게 유지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