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모든 부품이 중요하겠지만 생명과 직결될 수도 있는 브레이크 관련 부품들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브레이크 오일, 패드, 라이닝, 디스크의 역할과 교체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자동차 제동장치 방식
디스크 방식
캘리퍼는 차축에 고정되어 있고 캘리퍼 안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붙어있습니다.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 양면에 브레이크 패드를 압착한 뒤 마스터 실린더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 마찰을 발생시켜 제동합니다. 쉽게 훨 원판을 양쪽에서 눌러 휠을 멈추는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브레이크 패드의 재질은 오가닉, 세미 메탈릭, 세라믹 재질입니다.
- 오가닉 재질 - 섬유, 고무, 카본 혼합. 저소음과 부드러운 제동감이 장점입니다.
- 세미 메탈릭 - 철, 구리 등 금속을 혼합. 내구성과 고온에 강합니다.
- 세라믹 재질 - 도자기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지고 저소음과 높은 내구성이 특징입니다.
![디스크방식](https://blog.kakaocdn.net/dn/q2H04/btsLgrxsBNM/u0DxWEKB2MZWwy0VNPf64K/img.png)
![드럼방식](https://blog.kakaocdn.net/dn/Hxhii/btsLhaIKqr6/hvmglA7T9FCzznKJcksn5k/img.png)
드럼 방식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을 2개의 브레이크 슈가 아래에서 위로 밀어주며 제동하는데 라이닝이라는 부품이 드럼을 잡아줍니다.
후륜구동에 주로 쓰였지만 캘리퍼보다 구조가 더 복잡하고 밀폐형 구조라 열관리가 쉽지 않기 때문에 요즘에는 잘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부품 교체 주기와 비용
브레이크액 (브레이크 오일)
에틸렌글리콜과 파마자유를 혼합해서 만든 오일로 페달을 밟으면 오일 압력으로 브레이크 패드를 밀어서 브레이크 디스크를 잡아주게 됩니다.
▶ 교체주기 - 보통 3~4만km 마다 교체하고 오일 수분 함량 3퍼센트 이상일 때도 교체합니다.
▶ 교체비용 - 5~9만원
브레이크 패드 / 라이닝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면 패드의 쉼이라는 부품과 디스크가 마찰을 일으켜서 소음이 발생합니다.
▶ 교체주기 - 전륜차 기준으로 패드는 2만km, 라이닝은 3만km 정도에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후륜의 경우는 보통 6-7만km 정도에 교체해도 큰 무리는 없다고 합니다.
▶ 교체비용 - 현대 올뉴투싼 3세대 기준으로 마찬가지로 양쪽 다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10만원 정도(공임비 포함) 지불했습니다.
디스크
패드가 마모되어 디스크까지 무리를 주게 되면 디스크도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 교체주기 - 디스크도 소모품이기 때문에 보통 10만km 정도되면 교체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교체비용 - 현대 올뉴투싼 3세대 기준으로 양쪽을 동시에 갈아야하기 때문에 20만원(공임비 포함) 정도 들었습니다.
캘리퍼
▶ 교체주기 - 별도로 정해진 교체 주기가 없습니다. 문제가 생기면 교체합니다.
▶ 교체비용 - 대략 5만원 ~ 10만원 사이 (공임비 제외)
관련포스트 |
자동차공학 | 하이브리드 자동차 특징 장단점 |
전기차에 대해 궁금한 점들 |
자동차 기관과 역할 (차체, 동력, 조향, 제동, 현가) |
오너 드라이버를 위한 자동차 상식 |
'공학 > 자동차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타이어 적정 공기압 (PSI, KPA) (12) | 2025.01.31 |
---|---|
자동차공학 | 하이브리드 자동차 특징 장단점 (37) | 2025.01.03 |
BMW 2시리즈 모델 (쿠페, 그란 쿠페, 액티브투어러) (7) | 2024.12.27 |
전기차에 대해 궁금한 점들 (26) | 2023.03.15 |
면허증 | 건설기계조종사 (0) | 2022.01.11 |
운전면허증 | 시험 순서와 면제 과목 (0) | 2022.01.11 |
운전면허증 | 분류 (1종. 2종. 연습면허) (0) | 2022.01.11 |
자동차 가격대 별 분류와 연비 (0) | 2022.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