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Bash 에서 Git 명령어를 사용해 Github에 프로젝트를 업로드 하는 방법을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순서 요약
내 컴퓨터에는 Git 설치 되어있다는 가정하에 내 파일이나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올리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합니다.
1. 깃허브에 '원격 저장소(repository)' 생성
2. 내 컴퓨터에 '로컬 저장소' 생성
3.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를 연결한 뒤 로컬 저장소의 파일을 원격 저장소에 push
깃허브에 원격 저장소 생성
1. 본인의 깃허브 페이지에 회원가입/로그인 합니다.
2. 상단 'Repositories'으로 이동해 New 버튼을 눌러 저장소를 생성을 시작합니다.
3. "Repositories name" 을 입력하고 하단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눌러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 저장소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면 "Add a README file" 을 체크합니다.

로컬 저장소 생성
Git 설치와 유저 설정은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깃허브에 올리려고 하는 내 컴퓨터의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한 후 "Git bash here"를 눌러 Git bash를 실행합니다.
- 윈도우 11부터는 '추가 옵션 표시'를 해야 목록에 보입니다. 안보인다면 윈도우 검색에 'Git bash'를 찾아 실행합니다.
2. 아래 git 명령어를 사용해 로컬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 git init // 로컬 저장소 생성
3. 숨긴 폴더로 .git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합니다.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연결
1. 깃허브에서 원격저장소의 주소를 확인합니다.
2. 아래 명령어를 통해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합니다.
$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주소] // 로컬저장소와 원격저장소 연결
3.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연결된 저장소를 확인합니다.
$ git remote -v // 원격 저장소 확인
4. 기존의 원격 저장소를 삭제하거나 잘못 연결한 경우 아래 명령어로 연결을 끊을 수 있습니다.
$ git remote rm origin // 원격 저장소 삭제
파일 업로드
파일이나 폴더를 원격 저장소로 올리는 과정은 add, commit, push 3단계로 나누어집니다.
1. add - 파일이나 폴더를 스테이지 영역에 올립니다.
$ git add [디렉토리명] // 스테이지 영역에 올리기
$ git add . // 모든 파일을 스테이지 영역에 올리기
2. commit - 스테이지 영역에서 로컬 저장소로
$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 스테이지 영역에서 로컬 저장소로
3. push -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
$ git push origin [브랜치 이름] //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로
이로서 모든 과정이 끝났습니다.깃허브로 가서 파일이나 폴더가 업로드 된 것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컴퓨터공학 > 개발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깃허브 README.md 과 .gitignore 설명 (3) | 2025.04.21 |
---|---|
Git | VScode 와 깃허브 (Github) 쉽게 연동하기 (2) | 2025.04.09 |
Git | 깃허브 (Github) 기초 용어 및 개념 (1) | 2025.04.07 |
인텔리제이 (IntelliJ) 설치 및 기본 사용법 (1) | 2025.04.04 |
이클립스 다운로드 및 설치, 스프링부트 개발 환경 설정 (1) | 2025.04.02 |
이클립스 (Eclipse) 기본 사용법과 퍼스펙티브 (4) | 2025.03.31 |
스프링 툴 스위트 (STS : Spring Tool Suite) 소개 (2) | 2025.03.17 |
VScode | 확장 프로그램 (Extension) 추천 (3) | 2025.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