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과학

한국판 뉴딜 분야와 계획

by KISCH 2020. 6. 24.
반응형


1. 한국판 뉴딜



뉴딜은 미국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1929년 대 공항을 극복하기 위해 추진한 정책을 말합니다.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을 위해 마련된 국가 프로젝트로 경제의 디지털화, 비대면 화 촉진 등에 중점을 두고 디지털 일자리 창출 및 경제 혁신 가속화를 중심으로 추진 됩니다. 2020년 6월 1일 제 6차 비상경제회의에서 7개 분야 25개의 핵심 프로젝트에 2025년까지 76조원을 투자할 계획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판뉴딜



1) 디지털 인프라 구축


데이터 수집 활용 기반 구축 

  • 데이터 전 주기 인프라 강화
  • 국민체감 핵심 6대 분야 데이터 수집 활용 확대 : 금융, 의료, 교콩, 공공, 산업, 소상공인

5G 등 네트워크 고도화 — 산업혁신 기반 마련을 위한 5G 인프라 조기 구축


AI 인프라 확충 및 융합산 — AI 학습용 빅 데이터를 조기에 구축. 제조업 지능형 생산공정 도입



2) 비대면 산업 육성


비대면 서비스 확산 기반 조성 — 디지털 기반 비대면 의료 시범 사업 


클라우드 및 사이버안전망 강화 — 공공부문 클라우드 정보시스템 확대 



3) SOC 디지털화


SOC : 사회간접자본으로 도로, 항만, 공항, 철도 등 교통시설과, 전기, 통신, 상하수도, 댐, 공업단지 등 생산활동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자본을 말합니다.


노후 국가기반시설 디지털화 — 도로, 철도 등 스마트 관리체계 도입 


디지털 물류서비스 체계 구축 — 도심 인근 스마트 물류센터 확축 




2. 그린 뉴딜



3개 분야 10개의 핵심 프로젝트로 2년 내 일자리 34만개 창출, 생산유발효과 49조원, 사회적 비용 저감 효과 40조원을 목표로 온실가스 1,620만 톤을 감축하고 에너지 효율을 30% 끌어 올리겠다는 계획 수립


1) 도시 공간 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2)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3) 저탄소 분산형 에너지 확산








3. 사업 계획



한국판뉴딜








반응형

댓글

KISCH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