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민속학 | 민간신앙 (가신신앙, 마을신앙, 무속)

by KISCH 2023. 7. 11.
반응형

 

민속학은 인간의 습속을 다루는 학문으로 주요 연구 대상은 민간신앙, 세시풍속, 축제, 놀이, 언어전승 등 입니다. 여기서 민간신앙인 가신신앙, 마을신앙, 무속에 대해 살펴볼게요.

 

목차

     

     

     

    민간신앙

     

    민간신앙

    1) 정의 - 오랜 옛날부터 일반 백성들이 믿고 의지하던 토속 신앙을 말합니다.

    2) 분류 - 민간신앙은 크게 마을공동체신앙과 가정신앙, 무속으로 분류됩니다.

     

    민간신앙 특징

    1) 신앙의 대상이 되는 신이 매우 다양

    2) 개인신앙이라기보다는 생활공동체의 신앙

    3) 다른 외래종교와 부단한 습합을 통해 상호 영향

    4) 구체적 생사화복에 집착 -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신앙행위를 합니다. 주로 재물

    5) 윤리의식의 결여

    6) 사회적 모순, 사회적 제도에 대한 원한 등으로 사회적 통합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활 속 민간신앙

    1) 손 없는 날 - 악귀가 없는 날로 이사, 혼례, 개업하는 날짜로 정하곤 하죠.

    • 손 :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사람에게 해코지 한다는 악귀 또는 악신

     

     

    가신신앙

     

    집을 중심으로 한 신앙

     

    1) 성주신 - 집을 지키며 집안의 운을 좌우하는 으뜸신입니다. '신과함께' 마동석이 성주신을 연기했습니다.

    2) 조왕신 - 부엌을 지키는 신이 있다고 믿어 부뚜막에 걸터앉거나 발을 딛는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3) 용신 - 우물을 지키는 신.

    4) 문왕신 - 대문. 문을 지켜서 불행이 들어오지 못하게 막아주는 신

    5) 성주신 - 대들보

    6) 측왕신 - 뒷간

    7) 삼신 - 아기를 낳는 데 도움을 주고 아기 엄마를 돌보는 신

    • 금줄 : 아기가 태어나면 대문 앞에 거는 줄로 붉은 고추는 나쁜 귀신을 몰아내고 까만 숯은 잡귀를 빨아들인다고 믿음
    금줄

     

     

     

     

    마을신앙 

     

    마을 수호신

    1) 인격신 : 산신, 동신, 골매기신

    2) 비인격신

    3) 장승 - 돌이나 나무로 만든 장승은 사람의 모습을 하고 마을로 몰고 오는 역신을 겁주어 쫒아내 재앙을 피하기 위해  마을 입구에 세웠다고 합니다.

    • 천하대장군
    • 지하여장군

    4) 솟대 - 기다란 막대기나 돌기둥 위에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얹힌 것으로 하늘을 섬기고 풍년을 기원

     

    마을제

    1) 당제 - 당산신령에게 마을의 평온과 대풍을 위하고 악귀와  같은 흉액을 물리치기 위해 마을에서 공동으로 지내는 제의

     

    장승솟대
    장승과 솟대

     

     

    무속신앙

     

    1) 역사 - 삼국시대 이후 체계화

    2) 명칭 - 무속의 '속'이 저속하다는 의미로 조선 선비들이 무속을 낮추기 위해 썼던 단어입니다. 무속보다는 온전한 종교의 의미에서 '무교'라는 단어를 쓰곤 합니다.

    3) 무교 - 민속 문화의 뿌리를 캐다 보면 무교로 연결되는 것이 많습니다. 다른 외래 종교들과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맺기도 합니다.

    • 남도 시나위 굿판 : 우리나라의 자랑스런 예술인 판소리, 산조(독주), 살풀이 춤이 모두 굿판에서 나온 것.

     

    무당과 굿

    1) 무당의 분류 - 신을 모시는 강신무와 그렇지 않은 세습무로 분류됩니다.

    2) 굿 - 신도가 자신의 힘으로는 풀 수 없는 문제에 봉착했을 때 무당의 중재로 신령의 도움을 얻는 것이 굿입니다. 

     

    무당과 굿은 아래 포스트에서 자세히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