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4과목 멀티미디어 제작기술 중 디지털 영상편집, 디지털 합성기술, 디지털 촬영기술에 대한 요약글입니다.
4. 디지털 영상편집
4-1. 영상편집의 개념
영상편집이란 촬영된 영상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거나 기획된 의도에 따라 장면을 의미 있게 연결하고 필요한 영상효과처리를 통해 최종 영상물을 얻기 위한 작업
4-2. 편집의 원리
전자편집 - 자동편집장치가 내장되어져 있는 2대의 편집용 VCR과 자동편집 제어장치에 의해 전자적으로 편집, 처리되는 것
4-3. 어셈블 편집
빈 테이프에 선형적으로 편집하는 방법으로 오리지널 테이프에서 필요한 부분을 차례로 마스터 테이프에 기록
4-4. 인서트 편집
오리지널 테이프나 마스터 테이프의 불필요한 부분에 다른 소재를 끼워 넣는 방법
1) 타임코드 - SMPTE 타임코드란 1프레임/80비트로 프레임 어드레스를 말한다.
- LTC :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기록
- VITC : 수직 블랭킹 기간에 삽입
2) LTC (Longitudinal TimeCode) - 테이프의 선형트랙에 기록된 타임코드로써 고정헤드에 의해 읽혀진다.
3) VITC (Vertical Interval Time Code) - TV신호에 수직귀선기간에 삽입된 디지털 형태의 타임코드 정보
4) Drop-frame & Non-drop frame
- Drop-frame Time Code : 재생모드에서 한시간의 테이프 주행과 타임코드의 주행시간이 정확히 일치
- Non-drop frame Time Code : 3.6초 만큼의 시간이 더 경과한 것(1초당 0.03프레임의 오차가 한 시간이면 3.6초)
4-5. 편집기법의 종류
1) 1 : 1 CUT 편집 - 필요없는 부분을 버리고 원하는 부분만을 순차적으로 이어나가는 형태로 편집
2) 2 : 1 CUT 편집 - 좀 더 발전된 형태의 편집기법으로 2대의 플레이 백용 VTR과 1대의 리코더용 VTR로 편집
3) 어셈블 편집 및 인서트 편집 - 영상과 모든 음향채널을 동시에 이어가며 편집하는 기법
4) 다이내믹모션 편집 및 A/V 분리편집 - 특별한 장면을 강조하거나 상황의 마무리 처리같은 곳에 주로 활용
5) 오프라인 편집 -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기록해 실제 편집시 적용
6) 온라인 편집 및 음향편집 - 오프라인 편집과 반대되는 기법으로 프로그램에 활용될 내용을 철저한 품질관리 하에 이루어지는 편집
7) 종합편집 - 각종 영상, 음향 처리장비들을 활용해 프로그램 완제품을 편집하는 과정
8) 특수효과 편집 - 일반적인 편집으로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특수한 영상을 구현해내기 위해 사용되는 편집기법
9) 비선형편집 - 여러 가지 영상, 음향 기기들이 구비된 종합편집실 기능을 하나의 기기로 실현해 내는 것
4-6. 편집의 효과
1) 장면전환 효과
- 디졸브 : 앞화면이 서서히 사라짐과 동시에 뒤화면이 서서히 나타나며 화면이 전환되는 효과
- 와이프 : 와이프 패턴을 이용해 화면을 닦아내듯 전환하는 효과
- 페이드인/아웃 : 화면이 서서히 임의의 색과 믹스되며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효과
2) 모션 효과
- 프리즈 : 연속으로 촬영된 영상중에서 지정된 프레임을 수차례 반복, 연속 프린트해 정지화면으로 만들어내는 효과
- 슬로 모션 : 화면 동작 스피드를 1/2, 1/3배 등 저속 처리해 만드는 효과
- 패스트 모션 : 화면 동작 스피드를 2배, 3배 등으로 고속 처리해 만드는 효과
- 스트로브 모션 : 1에서 30프레임까지 연속적으로 재생되지 않고 5, 10,15프레임 등 프레임단위로 정지됐다가 재생되는 효과
3) 이미지 효과
- 컬러효과 : 영상의 색상과 질감의 변화를 줄 때 주로 사용
- 플립 : 화면의 상하가 바뀌어 보이는 효과
- 플롭 : 화면의 좌우가 바뀌어 보이는 효과
- 플립 플롭 : 화면의 상하, 좌우가 바뀌어 보이는 효과
- 마스크 : 상, 하, 좌, 우 또는 임의 형태나 모양 등으로 화면을 가리는 효과
- 줌인/아웃 : 화면의 확대/축소
4-7. 디지털 비디오 장점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편집장비가 장착된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녹화한 후 디지털 비디오 편집용의 프로그램들을 사용하여 편집한 후 최종 결과물로 출력하는 것
4-8. 디지털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1) 디지털 퓨전 - 도스와 윈도우즈 NT환경에서 운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및 필름 레코딩 솔루션
2) 비디오 액션 프로 - 다양한 필터이펙트 모듈에 내장되어 있는 키프레임을 이용해 사용자 스스로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효과 및 트랜지션을 연출할 수 있다.
3) 스피드 레이저 - 기존윈도즈 3.1에서 운용되던 레이저 프로의 윈도우즈 NT용으로써 디지털 편집 및 조합을 위한 프로그램
4) 프리미어 - 고품질 퀵타임이나 윈도우즈용 마이크로소프트 비디오 포 윈도즈 디지털 영화 파일과 비디오 테입 제작에 쓰이는 편집 프로그램
5. 디지털 합성기술
5-1. Keying이란?
키는 배경화면 위에 다른 화면을 덮어 올릴 때 쓰는 효과로써 화면합성에 쓰이며 덮어 올라갈 부분과 배경화면이 보이게 끔 제거될 부분을 분리해 내는 효과
1) 루미넌스키 - 색의 휘도값의 차이를 이용해 휘도값의 컷트라인을 조정해 컷트라인 미만 값은 제거해내고 그 이상 값은 화면에 남기는 방법
2) 크로미넌스키 - 색상의 차이를 이용하는 키로 조정된 임의 색상을 제거해 필요한 화면부분을 얻어내는 효과
3) 매트키 - 키 작업 시 화면에 남는 부분과 제거되는 부분을 키홀이라 부르며 홀 안에 다른 비디오 화면을 채워 넣는 것
6. 디지털 촬영기술
6-1.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는 CCD(고체 촬상 소자)라고 하는 이미지 센서가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받아들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준다.
6-2. 디지털 카메라 촬영기법
1) 줌 - 카메라맨이 움직이지 않고 피사체에 가깝게 접근 또는 떨어지는 촬영기법
2) 패닝 - 피사체의 동감표현을 위한 카메라 테크닉으로 '흘려찍기'라고도 한다.
3) 틸팅 - 물체의 꼭대기부터 바닥까지 찍는 것으로 높이 감각을 연출할 때 이용
4) 스틸 - 정지화상을 간편하게 촬영
5) 포토스냅 - 스틸 사진 같은 정지화상을 녹화
6) 픽스 - 카메라, 렌즈를 움직이지 않고 촬영하는 방법
7) 촬영시 영상효과 주는 법
- 감마보정 기능 : 밝은 부분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어두운 부분의 역광을 보정
- 오버랩 기능 : 한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전환될 때 화면이 서로 겹쳐서 표시된 후 점차 다음화면이 보여지게 되는 기능
- DIS(손떨림 보정 기능) : 이미지의 흔들림과 불안감을 감지하여 떨림을 방지해 안정적으로 촬영
- 캣츠아이 기능 : 1LUX 이하의 거리에서 녹화가 가능하게 하며 불빛이 없는 물체를 촬영
- 페이드 기능 : 녹화시작과 끝에서 화면이 점점 밝아지는 화면과 점점 어두워지는 화면을 녹화
- White Balance 기능 : 자연의 색상과 동일하게 표현하고자 사용하는 기법
- B/W Eff : 촬영시 color 영상을 흑백으로 나타내 주기 위해 사용되는 효과
- SEPIA 기능 : 빛이 바랜 오래된 사진과 같은 효과
- Mosaic 기능 : 화면의 모자이크 효과
- SOLARI 기능 : 사물의 색상이 번지는 것처럼 촬영
- Stretch 기능 : 화면을 좌우로 늘려서 촬영하는 기법
- SLIM 기능 : 화면을 상하로 늘려서 촬영하는 기법
8) 특수 촬영
- 접사 촬영 : 피사체와의 거리가 30cm 이하인 가까운 거리
- 적외선 촬영 : 적외선 필터가 적외선만 통과시키고 나머지 광선은 모두 반사
- 인터벌 촬영과 콤마 촬영 : 콤마촬영은 피사체를 움직여가며 촬영, 인터벌 촬영은 장시간에 걸쳐 움직이는 피사체를 시간을 압축하여 촬영하는 것
6-3. 촬영의 기본 자세
1) 촬영 자세 - 전체 프로그램의 개념과 분위기 파악
2) 기본 자세 - 카메라를 움직여서 액정화면을 보기 쉬운 위치에서 촬영
3) 하이앵글 - 높은 데서 내려 찍는 사진
4) 로우앵글 - 낮은 자리에서 올려다보듯이 카메라를 위로 향하고 찍는 사진
5) 셀프레코딩 - 손으로 잡고 자신을 촬영
6-4. 구도의 법칙
기본적 원칙은 전체적인 통일성에 있으며, 조화가 이루어져 있고 다양성을 가지고 유쾌한 느낌과 속도감을 가지고 있는 것
1) 통일성 - 문장과 마찬가지로 통일성이 있어야만 함
2) 조화 - 조화는 통일성과 다양성을 내포
3) 다양성 - 억제하지 않으면 통일성에 혼란이 올 수 있음
4) 속도 - 그 내용에 적합한 속도의 다양성은 중요
5) 균형 - 선, 모양, 색깔 및 빛 등 제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어 균형있게 짜여져 있어야함
6) 평형 - 반자의적으로 화면에 대해 평형상태를 요구
7) 강조 - 화면의 중요한 부분을 강조해 눈이 가게 함
8) 지배 - 화면의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
9) 흐름 - 개개의 장면들을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해야만 함
10) 리듬 - 그림의 구도에 리듬을 응용하는 방법
6-5. 촬영시 주의사항
1) 일반적인 주의사항
-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 설정치가 올바른지 확인
- 눈으로 인식하는 것과 카메라가 인식하는 것은 다름
- 충분히 기다려야 함
2) 기술적인 주의사항
- 피사계 심도 : 초점이 맞는 범위의 크기
- 패닝 - 피사체를 따라 가면서 어느 순간 셔터를 누르는 것
- 야경 촬영
6-6. 음향
장시간 촬영을 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잡음 허용범위를 넓게 하면서 전 Scene 에 Wireless 마이크와 Boom 마이크를 병행 사용
6-7. 스트리밍 기술
실시간으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하여 압축하는 기술
'컴퓨터자격증 >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4. 멀티미디어 제작기술 ④ (27) | 2025.01.15 |
---|---|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4. 멀티미디어 제작기술 ③ (29) | 2025.01.13 |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4. 멀티미디어 제작기술 ① (34) | 2025.01.06 |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3. 멀티미디어 저작 ② (8) | 2024.12.25 |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3. 멀티미디어 저작 ① (15) | 2024.12.23 |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2. 멀티미디어 기획 및 디자인 ③ (68) | 2024.12.18 |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2. 멀티미디어 기획 및 디자인 ② (75) | 2024.12.16 |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2. 멀티미디어 기획 및 디자인 ① (20) | 2024.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