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자격증/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4. 멀티미디어 제작기술 ③

by KISCH 2025. 1. 13.
반응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4과목 멀티미디어 제작기술 중 오디오 관련 부분인 디지털 오디오 레코딩, 디지털 사운드 시그널 프로세서, 음향편집, 오디오 파일과 인코딩, 컴퓨터 오디오 및 MIDI 를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7. 디지털 오디오 레코딩

 

7-1. 디지털 오디오

1) 디지털 녹음기 - 디지털 녹음(샘플링) 비율은 반드시 녹음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두 배가 되어야한다.

2) 사운드 카드가 소리를 복원하는 방법 - 사운드 블라스터나 비슷한 카드는 FM 합성이라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

3)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크기 -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 MIDI 방식보다 훨씬 많은 기억 장소를 필요로 한다.

4)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조작 연산 - 생성, 편집, 인식, 합성, 플레이백 등

 

7-2. 입체음향의 개요

1) 서라운드 - 돌비 서라운드가 대표적

2) 입체음향 - 사용자의 이동이나 반응에 따라, 또는 음원의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소리가 입체적으로 들리게 됨

 

7-3. 디지털 사운드 저장장식

1) PCM 방식 - 입력된 값을 그대로 저장하는 방법으로 압축과정이 없기 때문에 용량이 크다. CD나 DAT 등에서 사용

2) ADPCM 방식 - 바로 앞 신호화의 차이를 저장하는 방식

 

 

8. 디지털 사운드 시그널 프로세서

 

8-1. 주요 개념

1)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점 - 아날로그는 연속되는 신호, 디지털은 0과 1로 구성된 신호

2) 음향 신호를 디지털로 처리하는 이유 - 디지털은 데이터 압축 및 효율적이기 때문

 

8-2. 디지털 오디오 시그널 프로세스

1)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의 용도 - 우리의 거주공간은 음향이나 영화를 위해서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가 효과를 볼 수 있다.

2) 오디오 음질 - 최고급 오디오 시스템과 보급형 오디오 시스템의 음질 격차는 아무리 확대해도 10% 변화 폭 내이기 때문에 설치된 방안의 여건이나 상황을 음악적으로 개선에 나가는 것이 더 효과적이고 실용적

3) 시그널 품질 - 채널의 진동수 반응은 채널에 있어서의 시그널의 품질을 결정짓는다. 불완전한 채널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필터를 이퀄라이저라고 부른다.

4) 고품질 사운드의 획득 

  • 표본화과정
    • 안티앨리어싱 : 표본화할 때 표본화 주파수의 1/2 보다 큰 주파수가 있을 경우 잡음이 존재하게 된다.
    • 절환오차 : 나이키스트 주파수를 초과하는 신호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
  • 양자화과정 
    • 양자화 오차 : 아날로그 파형을 양자화 비트로 표현하면서 발생하는 값의 차이
    • 디더링 : 아날로그 파형을 디지털 형태로 바꾸는 과정에서 미세한 잡음 성분을 인위적으로 첨가해 양자화 잡음과 음의 왜곡을 줄이는 방법
  • 기타 
    • 클리핑 : 원음의 크기가 나타낼 수 있는 범위를 넘게 되면 클리핑이 발생
    • 지터 에러 : 디지털 신호의 전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시간축 상의 오차

 

 

9. 음향편집 

 

9-1. 개요

배경음악을 삽입하는 정도가 아닌 살아 있는 영상을 만드는 과정

 

9-2. 음향과 영상과의 관계

음향과 영상의 조화는 영상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 단조로움을 없애고 특별한 감정을 시청자에게 전달

 

9-3. 음향 편집 방법

1) 과정 - 녹음 및 재생 >> 레코딩 삽입 >> 다른 웨이브 파일 삽입 >> 오디오 섹션 분리

2) 믹싱 - 출력 전기신호를 조정하여 에코나 잔향 등의 특수효과를 가하여 완성한 프로그램 음성

3) 더빙 - 대사 만을 수록한 녹음매체를 재생해 필요한 효과음을 첨가

 

9-4. 음향편집시 고려사항

1) 음의 선택 

  • 전체 성격과 분위기에 맞는 배경음을 선택
  • 내용에 따른 음색의 선택
  • 작품의 내용에 따른 배경음의 템포가 잘 선정되어야 영상과 음의 조화가 매끄러워진다.
  • 효과음은 배경음이나 해설 등의 음량에 비해 조금 낮게 설정

2) 배경음의 작곡

  • 설정해 놓은 신의 전체 성격과 분위기 및 시간을 잘 분석
  • 한 신 안에서 성격 변화를 확인해 두고 성격이 변화할 때마다 악기의 설정을 달리 해야함
  • 매트로놈에 의한 리듬의 속도 배정에 유의해 알맞은 곡을 스케치
  • 적절한 스코어링 작업을 해 분석한 작곡이 끝나면 악기의 피스별 사보 작업을 거쳐 녹음을 시작

3) 마이크

  • 용도에 따른 분류 : 핸드 마이크, 붐 마이크
  • 위치에 따른 분류 : 스탠드 마이크, 데스크 마이크, 행잉 마이크, 히든 마이크


9-5. 음향편집 관련 용어

  • dB : 전력, 전압, 전류 등의 증폭 이득이나 감쇄도를 표시
  • Loudness : 소리의 크기, 에너지의 강약에 일차적으로 대응하는 청각심리상의 인상
  • Pitch : 소리의 높이
  • THD : 입력신호에 의해 엠프가 만들어내는 찌그러짐을 출력과의 퍼센트로 표시
  • Tone : 소리의 음색
  • 가청주파수 : 공기속을 통과해 사람의 귀에 들리는 소리의 주파수
  • 고조파 : 주기적인 복합음의 각 성분 중 기본음 이외의 것
  • 근접효과 : 진동파에 근접할수록 저음대역은 레벨이 커짐
  • 기본음 : 주기적인 복합음 때에 그 주기에 상당하는 주파수의 순음
  • 다이내믹 레인지 : 가장 큰 dB값과 가장 작은 dB값의 차이
  • 단음 : 한 개의 기본음과 정수배의 배음에서 나는 것
  • 레퍼런스톤 : 녹음 전이나 믹싱을 준비할 때 테잎에 0VU 크기의 사인파를 일정시간 녹음하는 것을 말한다.
  • 마스킹효과 : 큰 레벨의 신호에 의해 작은 레벨의 신호가 가려져 없어진 것처럼 보이는 효과
  • 명료도 : 음성이 또렷이 전달되는지
  • 모음 : 허파에서 내쉬는 숨이 목청을 통해 나올 때 순하게 홀로 나는 소리
  • 백색 잡음 : 모든 주파수의 성분이 일정한 크기

 

 

 

 

10. 오디오 파일과 인코딩 

 

10-1. 오디오 파일의 주요개념

오디오 데이터는 파일 사이즈가 대단히 크로 프로세싱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0-2. 오디오 파일의 종류

1) MID / RMI - 디지털 뮤직 규격에 사용되는 음악파일

2) WAV - MS사와 IBM사가 만든 사운드 파일로 윈도우에서 소리를 녹음하고 듣는데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포맷

3) AIFF / AIF - WAV처럼 샘플링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

4) AU - 썬마이크로시스템즈사에서 만든 사운드 포맷

5) MP3 / MP2 / MP1 - 압축된 오디오 파일로 동영상 압축 기술인 MPEG에서 탄생

6) M3U - 오디오 압축 파일인 MP3의 목록 파일

7) S3M / MOD / XM - 과거에 '아미가'라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음악 포맷

8) RA / RAM - 음성 전송용 플러그인 리얼오디오의 파일 포맷

9) CDA - 오디오 CD에 있는 한곡 한곡을 파일로 표현하는 포맷

10) DIG - 사운드 디자이너의 포맷

11) KAR - 노래방 파일로 MID파일에 가사를 붙여 음악에 따라 가사가 스크롤되는 방식

12) MOD - 샘플링된 소리 데이터들을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변형, 합성해 음악으로 출력하는 것

13) WRK - 미디 음원을 이용하여 작곡 및 편곡을 하는 케이크워크의 전용 음악 데이터 파일

 

10-3. 오디오 파일 만들기

1) 오디오 파일을 만들기 위한 준비 - PC, CoolEdi, CD 플레이어, 오디오, composite 케이블 등

2) CD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 만들기 - CD-ROM이 있는 PC와 사운드 편집기 CoolEdit, CD 플레이어가 필요

3) 오디오(또는 소형녹음기)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 만들기 - 오디오나 소형녹음기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만드려면 오디오와 PC를 연결할 수 있는 미니 케이블이 필요

4) 리얼오디오 파일로 만들기 - wav로 제작한 오디오 파일은 리얼인코더를 이용해 리얼오디오 파일로 제작

 

 

11. 컴퓨터 오디오 및 MIDI

 

11-1.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1) 샘플링이란? - 디지털 오디오는 소리의 파형 정보를 저장한 것이고 소리 파형을 일정 주기별로 찍어서 그 때의 파형의 높이를 기록한다. 소리의 높이를 추출하는 과정을 샘플링이라고 함

2) 샘플링 비율과 샘플 크기 - 대표적인 샘플링 비율은 44.1KHz

 

11-2. MIDI

1) 개요 및 MIDI의 장단점 - MIDI의 장점은 파일 크기가 작다는 것이고 단점은 플레이백 장치에 따라 음질이 좌우됨

2) MIDI 데이터 - 음표, 음표의 시퀀스, 음표를 플레이해야할 악기의 종류 등 음악적인 보표를 세부적으로 기술하는 프로토콜

3) MIDI의 소프트웨어 

  • 작곡용 프로그램 : CakeWalk, Cubase, Logic
  • 악보용 프로그램 : Coda사의 Finale, Passport Design사의 Encore
  • 음색편집용 프로그램 : 오딧세이소프트사의 Classic-B, KORG사의 X5DR 등

 


관련포스트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3. 멀티미디어 저작 ①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3. 멀티미디어 저작 ②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4. 멀티미디어 제작기술 ①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필기 | 4. 멀티미디어 제작기술 ②
반응형

댓글

KISCH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